최종편집일 2023-03-28 07:01
바로잡습니다
2015. 3. 11. 실시 제1회 전국동시조합장선거 문답풀이(10)
2015. 3. 11. 실시 제1회 전국동시조합장선거 문답풀이(9)
2015. 3. 11. 실시 제1회 전국동시조합장선거 문답풀이(8)
2015. 3. 11. 실시 제1회 전국동시조합장선거 문답풀이(7)
2015. 3. 11. 실시 제1회 전국동시조합장선거 문답풀이(6)
2015. 3. 11. 실시 제1회 전국동시조합장선거 문답풀이(5)
2015. 3. 11. 실시 제1회 전국동시조합장선거 문답풀이(4)
2015. 3. 11. 실시 제1회 전국동시조합장선거 문답풀이(3)
2015. 3. 11. 실시 제1회 전국동시조합장선거 문답풀이(2)
2015. 3. 11. 실시 제1회 전국동시조합장선거 문답풀이(1)
6. 4. 실시 전국동시지방선거 문답풀이(6)
6. 4. 실시 전국동시지방선거 문답풀이(5)
6. 4. 실시 전국동시지방선거 문답풀이(4)
기사입력 2014-03-22 12:50
‣ 4대 중점단속대상 선거범죄는 이번 지방선거를 공정하게 치르기 위해 선관위에서 최근에 나타난 선거법위반행위 중 선거질서를 근본적으로 훼손하는 4가지 중대범죄를 선정한 것입니다.
‣ 4대 중점단속대상 선거범죄는 다음과 같습니다.
- 후보자 추천 및 사퇴와 관련한 금품수수행위
- 공무원의 줄 세우기·줄서기 등 불법 선거관여행위
- 불법 선거여론조사행위
- 불법 선거운동조직 설립·이용 및 대가 제공행위
2. 후보자 추천 및 사퇴와 관련한 금품수수행위는 어떤 것인가요?
‣ 지방선거는 7개 선거를 동시에 치르기 때문에 주민들이 뽑아야 할 후보자가 많습니다. 후보자 간 경쟁 또한 매우 치열합니다.
‣ 하지만 금품 수수를 매개로 후보자를 선정하고 결정하는 것은 국민의 의사를 왜곡하는 매관매직 행위이자 선거법에서 엄하게 처벌하고 있는 범죄입니다.
3. 공무원의 줄 세우기·줄서기 등 불법 선거관여행위는 어떤 것인가요?
‣ 지방공무원은 선출직인 지방자치단체장이나 의원과 함께 근무하고 있고 자치단체장의 인사권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 지방공무원은 지방자치단체장 후보들과 근무 중 직접적인 교류가 빈번하여 개인적 친분이 있을 수 있고 업무수행 중 범죄라는 특별한 인식 없이 업무를 일탈하여 선거기획에 관여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 어떠한 경우에도 지방자치단체에 근무하는 공무원은 선거운동을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지위를 이용하여 선거운동의 기획에 참여하는 등 선거에 영향을 미치는 행위를 할 수 없습니다. 선거에서의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의무는 헌법적 요청입니다.
안양광역신문사 ()